====== 자료 구조의 왕 ====== ===== 풀이 ===== * 처음 설명만으로는 문제가 복잡해 보이지만, 입력 부분의 |dx|+|dy|=1이라는 조건때문에 간단해진다. 결국 로봇이 이동 가능한 방향은 가로나 세로뿐이다. * 단순히 시뮬레이션으로 처리하려면, 쿼리 하나당 O(n)개의 셀을 업데이트 해줘야 하는데, 쿼리의 갯수가 2*10^5개에, n은 최대 1000이므로 시간이 빡빡할것 같은 느낌이 든다 심지어 문제 제목까지도 자료 구조 어쩌구 저쩌구 하다보니, 복잡한 자료구조를 써서 쿼리 하나를 O(log(n))에 처리해야만 할것 같다. * 하지만, 단순 시뮬레이션으로도 처리해도 충분한데, 한번 잔디를 깎은 칸을 만나면 멈추기 때문이다. 결국 쿼리가 아무리 많아도 잔디를 깎는 횟수는 전체 칸수를 넘길수 없다. 시간 복잡도는 O(q+n*m) 이 된다. ===== 코드 ===== """Solution code for "BOJ 31218. 자료 구조의 왕". - Problem link: https://www.acmicpc.net/problem/31218 - Solution link: http://www.teferi.net/ps/problems/boj/31218 """ import sys GRASS = '0' EMPTY = '1' def main(): n, m, Q = [int(x) for x in sys.stdin.readline().split()] grid = [[GRASS] * m for _ in range(n)] grass_count = n * m for _ in range(Q): match sys.stdin.readline().split(): case '1', dy, dx, y, x: dy, dx, y, x = int(dy), int(dx), int(y) - 1, int(x) - 1 while 0 <= y < n and 0 <= x < m and grid[y][x] == GRASS: grid[y][x] = EMPTY grass_count -= 1 y, x = y + dy, x + dx case '2', y, x: y, x = int(y) - 1, int(x) - 1 print(grid[y][x]) case '3',: print(grass_count) if __name__ == '__main__': main() {{tag>BOJ ps:problems:boj:실버_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