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라무납 O
3 버그베어 O
1 스파이크필드 O
1 뮤타볼트 O
1 소켄잔 O
10 산 O
4 쿠마노 O
4 창병 O
4 소울스카 O
4 기투 O
4 슬릭샷 O
4 괴물같은분노 O
4 라이트업 O
4 불장난 O
4 위자드라이트닝 O
2 뼈파거 O
2 무모한충동 O
사이드보드
1 제간타 (컴패니언) O
4 마도파열도마뱀
4 위치스토커
4 페로시돈 O
2 크림슨 펄스
(파이어니어면 -1위치스토커 -1페로시돈 +2티어 오브 발라쿳 할듯)
피닉스: 가장 난적. 안정적으로 내 생물들을 다 잘라내고, 자신의 생물을 전개하는 것도 빠르다. 보딩에서는 괴물같은 분노로 3점번을 회피하는 요행을 바라기보다는 그냥 다 빼는게 낫다. 슬릭샷을 사이드아웃하는 유일한 매치업. 마도파열 도마뱀이 좋은 보딩수단인거 같지만 보통은 번개도끼에 바로바로 날아가곤 한다.. 상대에 따라서 크래클링 드레이크를 사이드인 하는 경우도 있고, 안하는 경우도 있다. 처음에는 일단 모르니까 그냥 위치스토커를 2장만 사이드인 해보고, 안보인다 싶으면 줄이자.
락도스 뱀파: 만만치 않다. 소린-베인리퍼가 깔리면 힘들지만, 그거 안터지는 경우도 많다. 시올드레드는 비록 처리수단이 없더라도 슬릭샷으로 날라까면 해결된다. 소린-베인리퍼를 쳤을때, 2장을 써서라도 베인리퍼를 처리하고 소린을 죽일수 있으면 결국 2장-2장 교환이니 너무 쫄지 말자. 그거 깔고 죽으면 상대도 손이 없다
아조컨은 극후반까지 끌리면서 질때 스트레스가 심해서 불리한것 같지만, 사실 상대가 초반에좀 말리면 4턴킬 가능하고, 상대가 극초반을 버텨도 반반확률로 중반 이전에 이길수 있다. 따져보면 만만한 상대
4마나를 세우고 기다리면 높은 확률로 황제이다. 물론 황제가 나올거 같다고 안달릴수는 없다. 다만 황제는 생물 1개만 자르므로, 황제가 나와서 생물을 자르고 나면 나머지 생물에 디나이얼 걱정없이 괴물같은 분노를 붙여주면 된다. 황제가 나오기 전에 먼저 괴물같은 분노를 붙이지 마라. 능력을 쓰고 난 황제를 쉽게 죽이기 위해, 기량1을 포기하고 쿠마노를 전투 전에 쓰지 않고 기다릴수 있다.
아말리아는 사실 빡센상대. 정 안되면 상대가 콤보돌리기 시작할때 괴물같은 분노를 이용해서 무승부로 만들수 있다. 정상적으로 게임이 힘들다 싶을때 (초반에 상대가 1점 채우는 생물을 2개 이상 깔아놓고 무한 회복중이라던가)에는 아예 상대한테 일부러 콤보 각을 주고 (아말리아를 안죽이고), 콤보를 돌릴때 분노를 붙여서 무승부를 노려보자. 무승부로 리겜할때는 선후공이 안바뀐다.
사이드 이후에는 무승부작전이 좀더 힘들어진다. 타이묘의 보호가 사이드인 되는데.. 분노가 스택에 있을때 타미요 보호가 인스턴트로 라이프를 채우면서 다시 콤보를 돌릴수 있다.
아말리아/보행자가 모두 깔려있는 상태에서, 라이프게인 생물을 끊어서 콤보를 막겠다는 것음 매우 위험.. 타이묘의 보호도 있고, 거위로 푸드토큰을 만들수도 있고, 라링 생물도 많다.
구조견은 희생해서 무적을준다. 하지만 소울스카가 있으면 무적을 무시하고 번으로 생물을 자를수 있다.
모노그린: 쉽다. 디나이얼이 없으니 걱정없이 괴물같은 분노를 뻥뻥 쓸수있다. 3마나로 떨어지는 떡대들은 슬릭샷으로 날아까면 피할수 있다. 내가 선공이고, 1,2턴에 패턴 플레이가 가능한 상황이면, 2턴째에 굳이 상대 라노워를 찍지 말고 그냥 달리는게 보통 낫다. 내가 후공이고 패턴플레이가 강하지 않다면 1턴에 상대 라노워를 자르는 것을 고민할수 있다. 키오라를 때릴지 본체를 때릴지는 상황에 따라 결정하자. 빠른 킬각이 안보이면 키오라를 자르고 좀 길게 가는것도 가능하다.
스피릿: 쉽지 않다. 기본은 상대 생물을 다 찍고 천천히 이긴다는 것이다. 내 턴에 마나를 다 쓰지 않고 아껴놓는것이 필요하다. 자기 보호는 있어도 디나이얼은 없으니까 괴물분노는 계속 들고가도 된다. 저편의 환상이 두장 이상 깔리는것도 매우 골때린다
퀸토리우스 콤보: 매우 쉽다. 인스턴트 2점번만 항상 장전하고 있으면 퀸토리우스가 발견하고 클론이 들어오기 전에 퀸토리우스를 짤라서 끊을수 있다
창의력/모프시키는거.. 마이너라서 잘 안보여서 다행이지 제일 힘든 상대이다. 아타락사가 나오고 나면 무슨 사이드를 들고와도 못이긴다. 창의력은 창의력에 스택쌓고 희생하려고 타겟잡은 생물을 먼저 자르면 안터지지만, 아티를 희생하면서 쓸수도 있으니 이것도 답은 아니다. 그냥 상대 핸드가 살짝만 말려주기를 기대
미러: 기본적인 레드 미러전의 개념 숙지. 상대가 가드가 비어있어도 안달리는것이 필요할때가 있는 유일한 매치이다. 리자드를 사이드인 한다. 방어력이 4라는 것은 한장에 처리가 안된다는 것이므로 그것만으로도 도움이 된다.
————-
VS BR뱀파
reid: +2티어 +2마녀광분 +2케이스 -4레이지 -2비평가
stanley: +2카리제브 +2페로시돈 +2마녀광분 -3찬드라 -3라이트업
–> 케이스 대신 페로시돈 넣는 빌드를 연구해볼까?
VS 이젯피닉스
reid: +2렌딩발리 +2케이스 +2리자드 -4레이지 -2슬릭샷
stanley: +3렌딩발리 +2케이스 -3씨어링 -1라이트업 -1비평가
–> 어차피 후달리는데 레이지를 빼지 말고.. 이걸로 3점번을 씹어보기를 기도해볼까? ⇒ 그러면 불장난을 대신 빼는 작전으로
VS 아말리아
reid: +4페로시돈 +2렌딩발리 +2프렌지
stanley: +3연회끝 +3렌딩발리 +2페로시돈
21랜드 덱에서
드로우 | 0랜드 | 1랜드 | 2랜드 | 3랜드 | 4랜드 | 5랜드 | 6랜드 | 7랜드 |
7장 | 3.98% | 17.7% | 31.3% | 28.3% | 14.2% | 3.90% | 0.55% | 0.03% |
2~3랜드: 59.6%
2~4랜드: 73.8%
20랜드 덱에서
드로우 | 0랜드 | 1랜드 | 2랜드 | 3랜드 | 4랜드 | 5랜드 | 6랜드 | 7랜드 |
7장 | 4.83% | 19.9% | 32.4% | 27.0% | 12.4% | 3.13% | 0.40% | 0.02% |
6장 | 7.67% | 26.3% | 34.7% | 22.5% | 7.55% | 1.24% | 0.08% | - |
2~3랜드: 59.4%
2~4랜드: 71.8%
대충 좋은 순서를 2랜드>3랜드>4랜드>5랜드>1랜드>6랜드>7랜드>0랜드 라고 해보자
6랜드부터는 무조건 멀리건이다. 이런일은 5% 정도 생긴다
1랜드는 가끔 핸드가 너무 좋아보이면 킵을 하고 싶은 충동이 생긴다. 하지만 그냥 멀리건하자..
1랜드 킵을 했을 경우, x장의 추가 드로우를 했을때 2+번째 랜드를 받을 확률은
1장: 35.8%
2장: 59.3%
3장: 74.5%
4장: 84.2%
후공일경우에는, 1랜드 킵을 해도 60%의 확률로 정상적인 플레이를 할 수 있기는 하다.
선공일때는 1랜드 킵해서 성공확률은 35.8%.
멀리건을 했을때
성공적(2~3랜드): 57%
안좋음(4랜드): 7.5%
절반망함(1랜드): 26.3%
멸망(0,5,6랜드): 9%
그러면 멀리건 했을때 성공할 확률이.. 후공이면 57% + 26.3% *0.6 = 72.78%, 선공이면 66.46%
후공이라도.. 1랜드 킵해서 60%에 걸기보다는 그냥 멀리건 하는게 마음편하다
5랜드인 경우에는 멀리건 해서
4랜드일/3스펠일 경우 더 좋아지는 가능성은 2랜드4스펠밖에 없다. 34% 확률에 걸기